[경제쏙쏙] "빗물이 돈"…'불청객' 장마의 경제적 가치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제쏙쏙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경제부 강은나래 기자와 함께합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밤사이 내리던 비가 소강상태인데, 주말에 또 곳곳에 요란한 비가 예보됐네요.<br /><br />여름철 장맛비가 생활에 불편도 주고, 때로는 큰 피해도 줍니다만, 경제적 효과도 있다고요?<br /><br />첫 번째, 소식 장마의 경제학이네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장마철 끊임없이 이어지는 비 예보만 들어도 불쾌지수가 이미 높아지는 느낌입니다.<br /><br />기상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집중 호우로 인한 재해가 연평균 5회 정도 발생합니다.<br /><br />상가나 주택, 농경지가 침수되고, 산사태가 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태풍 피해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호우 피해를 본 해는 1998년입니다.<br /><br />이재민 2만 4천명, 인명 피해는 324명 발생했고, 1조 2,900여억원의 재산 손실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지금 같은 장마철이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온 국민이 장맛비 피해에 온 신경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, 장마로 인한 손실만큼이나 경제학적 가치도 무시할 수 없는데요.<br /><br />특히 지구 온난화와 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해질수록 더 가치가 커진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국립기상과학원이 분석한 자료입니다.<br /><br />장마의 경제적 효과를 크게 수자원 확보, 대기질 개선, 수질 개선, 장마 용품 매출 증가 등 크게 네 가지로 나눴습니다.<br /><br />1981년부터 2015년까지 장마 동안 내린 평균 강수량 356.1㎜를 토대로 수자원 측면의 경제적 가치를 추산한 결과 2,585억 원에 이른다는 분석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강수량과 국토 면적, 유출률, 댐 용수의 가격 등을 고려해 계산한 결과인데요.<br /><br />내리는 비가 댐에 저장돼 생활용수나 농업용수로 활용되거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거죠.<br /><br />그뿐만 아니라 장맛비는 대기질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공기 중에 떠 있는 먼지와 분진, 중금속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춰줍니다.<br /><br />수자원을 늘리는 것뿐 아니라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수량 자체가 많아지는 동시에 정체됐던 물의 흐름이 빨라지면서 각종 수질 지표가 좋아진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수질 개선에 드는 비용을 고려했을 때 81.8㎜의 비가 내리면 142억 원의 수익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.<br /><br />각종 온라인 쇼핑몰이나 홈쇼핑 및 식품 관련 매출이 급증하는 등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도 있고요.<br /><br />유통업계는 장마철 방콕족들을 노린 먹거리 기획전을 속속 내놓아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러니까 장마가 때때로 천문학적인 금전적 손실과 인명 피해를 유발하기도 하지만 방재만 잘하면, 이런 효과를 더 극대화할 수 있다는 거네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특히, 지구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잖아요.<br /><br />최근 한반도에서도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기 전에 가뭄이 드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거든요.<br /><br />산불 피해도 잦고요.<br /><br />도시 열섬 효과나 열대야도 심해지고요.<br /><br />이런 환경에서 매년 내리는 첫 장맛비는 특히 더 단비일 수밖에 없겠죠.<br /><br />장마를 잘 활용한다면 미래에 경제적 이익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장마철 움직이기 힘들고 축축 처지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만, 장맛비도 '돈이 된다'는 생각하면서 견뎌봐야겠네요.<br /><br />자, 다음 소식은, 절기 '소서'와 밀가루네요?<br /><br />아, 내일(6일)이 절기상 소서죠?<br /><br />근데 밀가루는 어떤 관련이 있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말씀하신 대로 내일은 '작은 더위'라는 뜻을 가진 절기 '소서'입니다.<br /><br />절기별로 주로 먹는 음식 몇 가지 알고 계실 텐데요.<br /><br />동지 팥죽처럼요.<br /><br />소서에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밀가루로 만든 음식을 주로 먹어왔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소서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면서 온갖 과일과 소채가 풍성해지는데, 밀도 제철입니다.<br /><br />이맘때가 밀이 가장 맛있을 때여서 소서에 국수나 수제비 같은 밀가루 음식을 해 먹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요즘은 밀가루가 몸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많아서 밀가루 안 먹는 분들도 계시는데, 사실 밀은 열을 내려주고 기력을 회복시켜주는 효능이 있어 여름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하고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근데 지금 말씀하신 밀이 제철이다, 이런 건 실제로 밀 농사를 많이 짓던 때 얘기죠?<br /><br />수입산 밀가루를 사시사철 마트에서 살 수 있으니, 절기에 맞춰 밀가루 음식을 먹는 문화도 자연히 잊힌 거겠네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맞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 곡물 자급률이 낮다는 건 이미 익히 알려졌는데, 밀 재배면적이 올해 더 줄었습니다.<br /><br />통계청 자료를 보면, 올해 국내 밀 재배면적은 9,536㏊입니다.<br /><br />작년보다 17.8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2019년 '밀산업 육성법'이 제정된 후 매년 19∼40%씩 그래도 꾸준히 증가했는데, 올해 재배면적이 처음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.<br /><br />정부 매입 외에 민간 판로가 부족하다 보니 재배 면적을 늘리지 못하는 것이라고 농민단체는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재배 면적이 줄어드니 자연히 생산량도 줄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올해 380㎏으로 지난해 447㎏보다 15%가량 줄어든 것으로 농촌진흥청은 추정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를 적용하면 올해 밀 생산량은 3만6,237t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5만1,809t보다 30% 감소한 양입니다.<br /><br />밀 국내 수요가 연간 250만t가량인 점을 감안하면, 자급률은 고작 1.4% 수준인 건데요.<br /><br />정부의 올해 밀 자급률 목표치 4.2%에 한참 못 미칩니다.<br /><br />러시아-우크라이나 이후 밀가루 가격 공급 불안하다는 뉴스 저희가 여러 번 전해드렸는데요.<br /><br />이렇게 밀 자급률이 떨어지면 앞으로 국제 환경에 따라 국내 밀가루 관련 식품 가격 계속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달 밀가루 가격이 밀가루는 100g에 235원으로 0.3% 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밀가루로 만든 국수는 14.8% 비싸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죄다 수입산이니 소서에 밀이 제철이란 말이 참 무색하네요.<br /><br />'식량 안보'라고 하는데, 대책이 있어야 할 거 같습니다.<br /><br />절기 얘기하니까, 이번 달 중순 초복도 있죠?<br /><br />요즘 닭고기 가격이 내려갔다던데, 그럼, 삼계탕값도 좀 내려가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말씀하신 대로 초복이 열흘 앞으로 ...